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도
- UrVine Mission
- 코로나 바이러스
- 선교
- UUPG
- 중보기도
- 무슬림
- 뉴욕 기도 모임
- 북한
- 맨하탄 기도모임
- 서울 기도모임
- 기독교 박해
- 선교적 기도
- 맨하탄 기도 모임
- 코로나 사태
- Urban Prayer Station
- 기도모임
- 기독교
- 회개
- 동성애
- 교회
- 뉴욕 기도모임
- ups
- 이슬람
- 복음
- 중국
- 교회 핍박
- 전략기도
- 기도
- 미전도 종족
- Today
- Total
목록기도 (755)
UPS Prayer Blog
2019 제리코 프로젝트는 다문화권 교회를 통해서 주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뉴욕의 Times Square Church, 일본 Love Joy Peace Church, 인도의 Ray of Hope Church, 유대인 교회 베트 사르 샬롬 교회, 중국의 True Light Lutheran Church, 그리고 리디머(Redeemer) 교회 선교관을 방문해서 열방의 교회들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을 품고 기도했습니다. 그리고 뉴욕한인연합교회, 시라큐스한인교회, 온세대교회 그리고 마지막 해단식을 한 뉴욕영락교회까지 한인교회들에서 계속되는 기도회를 가졌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하나님의 소망이 교회에 있음을 다시금 확인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교회가 점차 물질화되고 인본화되고 또한 종교화되어 교..

하카 종족(Hakka)은 인구 약 4백 30만명으로 대만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으며 중국어와 하카어를 사용하며 덩샤오핑 (Deng Xiaoping), 리콴유(Lee Kwan Yew), 홍수전(Hong Xiuquan) 등 유명 인사들이 하카 종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카’는 이방인, 손님을 의미합니다. 이 이름의 유래는 역사적 뿌리에서 알 수 있는데, 이들은 4세기에서 13세기에 걸쳐 전쟁으로 피폐된 황허강을 떠나 중국 남쪽에 난민으로 오게 되었고, 객가인(Keija)으로 자리잡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카 종족은 자신의 문화를 자랑스러워하며 특히 하카어를 보존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하카 종족으로 시집을 오는 모든 여성들은 반드시 하카어를 배워야 합니다. 과거에는 많은 하카 종족 어머니들이 노..

시리아는 2019년 세계 기독교 박해 순위 11위로써 올해로 8년간의 오랜 내전으로 37만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백만명이 삶의 터전을 잃었습니다. IS의 공격으로 인한 긴 시간의 어려움을 지나 이제는 끝나지 않는 정부군과 반군의 내전으로 인해서 나라가 초토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5월 한달동안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하는 러시아의 공격으로 시리아 북서부에서 230명이 숨지고 30만명이 넘게 피난길에 올랐습니다. 시리아 내전은 정부군과 반정부군의 분쟁으로 시작하여 수니파와 시아파의 종파 문제를 넘어 미국과 러시아의 국제적 대리전으로 이어지고 있는 양상입니다. 지난 3월 이슬람 수니파 극단무장단체인 IS 점령지가 소멸되었지만, 이로 인해 대부분의 시리아 기독교인들이 조국을 떠났습니다. 시리아 땅을 향한 어둠의..

예멘은 국민의 99%가 무슬림이며 월드와치리스트 8위 국가로 기독교 박해가 매우 심각한 나라로 기독교로 개종을 하는 것은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 행위로써 예멘에서 복음을 들을 수 있는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2015년 이란의 지원을 등에 업은 후티 반군이 예멘의 수도 사나를 비롯한 국가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면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지원하는 예멘 정부와 정권 충돌이 일어나면서 4년 넘게 내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수년째 계속되는 내전으로 지난해 민간인 사상자만 5천 여명으로 이중 20%가 어린이였습니다. 또한 정부군과 반군 모두 지금까지 약 3천 여명의 소년병을 징집하는 전쟁 범죄를 저지르고 있어서 상당수 젊은 층들은 징집 등을 피해 해외로 피신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출처: 연합뉴스, 순교자의 소리, revi..

현재 한국을 둘러싼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북한의 국제 정세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고 있고 마치 구한말 조선의 상황과도 흡사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이 때에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로 한국 기업들의 큰 피해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번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로 인해 한국 국민들의 일본 제품 불매운동 및 일본 여행의 자제, 시민 단체의 반일 시위와 집회 등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일본은 앞으로 수출 규제 강도를 더 높이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어 아베 정권의 이러한 정책은 양국의 감정의 골을 더욱 깊게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이런 핫이슈에 대해 기도를 함에 있어 정치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양국간 이해 관계 속에서 마음을 열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단..

무역업체 CEO였던 김모씨는 IMF 외환 위기로 서울역에서 노숙을 하며 극심한 절망으로 자살을 여러 번 시도했었지만 5년간 노숙을 하며 받았던 작은 관심과 배려 때문에 노숙 생활에 대한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재기에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노숙 생활을 청산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10~15년 이상 노숙 중인 경우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의하면, 사업 실패와 실직, 가정 불화, 질병과 알코올 중독의 이유로 노숙을 하게 된 이들은 2016년 10월 기준 1만1천3백여명 입니다. 그 중 음주자는 약 40%나 되며 매일 술을 마시는 경우도 음주자의 약 19%이고, 우울증을 앓는 비율도 매우 높아서 시설 보호 노숙인의 경우 약 28%, 거리 노숙인 69%, 쪽방 임시 거주 노숙인은 무려 83..
포스트모던 시대는 중간을 비우고 다 같이 둘러 손을 잡고 하나가 되자는 중심해체의 모습을 지향합니다. 궁극적으로 결국 하나의 진리가 없이 모두 평등한 사회를 만들자는 개념이 됩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종교 간의 대화와 융합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이미 한국에서는 7대 종단 연합집회와 같은 모습이 보편화 되었고 미국에서는 기독교와 이슬람이 하나가 되는 크리슬람 집회가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또 한국의 일부 신학교에서는 불교와 기독교와의 만남을 주선하며 인간 중심의 사회 구현을 얘기합니다. 이처럼 말세가 되면서 평화라는 이름 하에 행해지는 가증한 타 종교와의 연합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웃과의 평화 실천을 위해 그들의 이론과 훈련 또한 서슴없이 받아들이는 교회와 신학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독..

인도네시아에서만 거주하는 시큘(Sikule) 종족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의 서부 해안에서 150km떨어진 아세(Aceh) 지방의 시멜루에(Simeulue) 섬에 대다수 거주하며 인구 약 2만8천명 입니다. 시큘 종족을 포함한 시멜루에 섬에 사는 사람들은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난동(Nandong) 공연이 유명합니다. 난동 공연은 특별한 행사가 있는 날에만 밤새도록 타악기와 현악기로 연설과 함께 공연합니다. 또한 데부스(Debus) 공연도 유명한데, 이것은 칼, 대나무, 기타 날카로운 물건을 몸에 찌르는 무술 형식의 공연으로 데부스의 실력자는 국제적으로 공연을 다니기도 합니다. 시큘 종족은 다른 시멜루에 섬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낚시, 농업, 관광 산업에 주로 종사합니다. 어종으로 바다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