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회개
- 기도
- 인도
- 뉴욕 기도 모임
- 전략기도
- 기독교
- 복음
- 이슬람
- 교회 핍박
- 미전도 종족
- UrVine Mission
- 맨하탄 기도 모임
- 뉴욕 기도모임
- 교회
- 선교
- 맨하탄 기도모임
- ups
- 북한
- 무슬림
- 선교적 기도
- UUPG
- 기독교 박해
- 중국
- 서울 기도모임
- 동성애
- 중보기도
- Urban Prayer Station
- 기도모임
- 코로나 바이러스
- 코로나 사태
- Today
- Total
목록기도 (755)
UPS Prayer 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zG6D/btqJbynm1hp/qq5MHyBDzLJCMziSIyyL9K/img.jpg)
디고(Digo) 종족은 동아프리카 부족으로 맘바사와 탄자니야 국경 사이의 케냐 남부 해안 지대에 집중되어 살고 있습니다. 19-20세기 초에 디고 종족은 극심한 기아를 경험했는데, 그때부터 그들 자신이나 그들 자녀 중의 한 명을 ‘코레(Kore)’라고 부르는 담보금으로 주고 음식을 빌리는 임시 담보가 관행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빚을 갚지 못해 노예로 살게 되는 경우가 많고 노예로 맘바사에 끌려온 디고 종족 중 다수는 나중에 이슬람으로 개종함으로써 자유를 얻기도 합니다. 디고 종족은 여러 해 동안 이슬람 아랍인과의 무역에 관여해 왔고, 그 결과 그들 대부분은 이웃 종족들보다 더 높은 생활 수준을 누려 왔습니다. 무역 외에 농업과 어업은 디고 종족의 또 다른 두 가지 수입원이기도 한데, 이들의 주된 작물은 ..
1) 박해와 미혹으로부터 주의 교회를 보호하여 주시도록 우리는 이번 코로나 19사태로 두 가지의 원수의 발톱을 보았습니다. 먼저 마치 독 없는 뱀이 “또아리를 틀어” 먹이를 잡듯이 원수는 중국 정부의 손을 통해 우한 지역을 종교 정책 시범 지역으로 지정하고 교회 탄압이 가장 심하게 일어났던 곳으로 이번 코로나를 통하여 알려지면서 우한 뿐만 아니라 중국 교회들의 심각한 박해의 현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또 독이 있는 뱀이 독으로 공격하듯이 뱀이 미혹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바로 신천지가 폭로되면서 이 땅에 미혹이 창궐하고 있음을 보게 하셨습니다. 교회 안에서의 공격 뿐 아니라 신천지에 빠져 허우적대다가 결국 파멸의 지옥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수 많은 영혼들을 보며 우리는 다시 한번 기도해야 할 것입니다. ..
1) 하나님을 묵상함 없이 행음하고 있는 교회들을 위해 호세아를 통해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영적으로 크게 음란했던 이유는 “지식이 없었기 때문”이라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지식은 하나님에 대해 아는 ‘지적 지식’ 즉 ‘knowing about God’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아는 지식인 ‘knowing God’을 의미합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함께 모일 수 없게 되자 성경세미나, 성경공부 및 큐티나눔과 같이 성경 말씀을 상고할 기회가 막히게 되었습니다. 반면 개인은 하나님과 1:1로 묵상할 수 있는 시간을 더 많이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 대신 더 많은 시간 사람을 만나거나 인터넷과 영적으로 접신하는 묶임에 빠지게 된 것이 우리들의 현 상황일 것입니다. 때문에 코로나는 어쩌면 우리의 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TkRg/btqID5sGtui/ZZffzqY9QuzvMdxwUxwc40/img.jpg)
모로코는 이슬람 왕정 국가로써 전도지나 성경을 주다 발각되면 즉각 추방 당하고, 미성년자에게 복음을 전하다 걸리면 구속되며, 현지인과 외국인의 접촉이 잦을 경우 뒷 조사를 당하고 추방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현지 교회들은 곳곳에 배치된 사복 경찰과 정보원들의 감시를 피해 가정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며, 이슬람 체제에 불만이 많은 젊은이들에게 미디어를 통해 비밀리에 복음을 전파하여 북아프리카 국가들 중 모로코가 압도적으로 기독교 개종이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독교로 개종한 자에 대한 탄압이 갈수록 증가해 일주일에 최대 3번씩 반복적으로 체포되고 이슬람교로 다시 개종할 것을 강요받고 있습니다. 아울러, 코로나 사태 이후 체류 법이 바뀌면서 선교사들은 추방의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여행 비자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ITIoN/btqIM7iG1IF/Kp0txYfHgYxEk4hoCmv17k/img.jpg)
세계 경제 2위로 부상한 중국이 최근 천재지변으로 인한 큰 경제적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중국은 남부 홍수의 피해와 아프리카 돼지열병 유행에 더해 지난 6월부터 라오스에서 유입된 거대한 메뚜기 떼의 습격으로 인해 식량 안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현재 원난성의 11개 현에 걸쳐 여의도의 약 13배에 달하는 지역에서 메뚜기 떼 피해가 보고되었고 연말까지 농경지와 산림에서 메뚜기 떼 피해가 계속될 것으로 우려했습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식량 안보를 위해 음식 낭비, 먹방 등을 금지하는 등 식량 안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런 중국의 상황을 보면서 한쪽에서는 중국이 하나님께 채찍을 맞고 있다고 말하며 중국 땅을 긍휼로 품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는 경제적인 윤택함을 주셨건만 여전히 회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67j4/btqINox7ldS/6X9qN6qsk96Ntd0GN0Mv4k/img.jpg)
타이 종족은 본래 중국의 양쯔강 북쪽에 살았었으나 중국인들의 끈질긴 압력으로 서서히 남쪽으로 밀려나며 이주하게 되었고 10세기에 이르러 현재 태국의 중앙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타이 종족은 방콕에 가장 많이 살고 있고, 일부는 취업을 위해 대만으로 이주하여 현재 대만에 거주하는 타이 종족은 약 6만4천 명 입니다. 대만의 타이 종족은 대부분 저임금 노동자로서 대만에 들어오기 위해 사용된 수수료를 지불하기 위해 1년 이상의 수입을 소비하곤 합니다. 그리고 또 다시 돈을 벌어 태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길고 힘든 시간을 일하며 생활합니다. 새해에 폭죽으로 축제하는 중국과 대만인과 달리 타이 종족은 물을 뿌리며 축복하는 송크란 축제가 유명합니다. 타이 종족은 유달리 예의 바르고 윗 사람을 존경하고 서로 ..
1)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예배로 인해 나태해진 기독교인들의 영적 회복을 위해 계속되는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예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제는 예배에 대한 편안함으로 하나님을 만홀히 여기는 죄 가운데 빠지게 되었습니다. 한국은 거리두기2.5단계가 되면서 모든 예배가 온라인으로 강화되었고, 미국은 예배가 옵션 사항으로 드리면서 현장보다 온라인 예배를 선호하는 기독교인들이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 교회에서 주일 예배를 드리지 않는 성도들이 늘고 있는 이유로 “게으름” “귀찮음” 그리고 “교회에 가지 않아 예배드릴 마음이 생기지 않음”의 이유가 가장 많았습니다. 이로 인해 주일 성수에 대한 개념이 점점 희미해지고, 예배를 향한 갈급함이 사라져가고 있는 상황 가운데 성도 간의 교제 역시..
1) 하나님의 세미한 소리를 듣지 못하는 교회들을 위해 호렙산에서 엘리야에게 나타나신 하나님께서 바람 가운데에도, 지진 가운데에도, 불 가운데에도 계시지 않으시고 불 후에 세미한 소리로 나타나셨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함께 모여 예배드리기 어려워진 지금의 교회들은 눈에 보여지는 모든 현상을 각자 스스로 해석하며 하나님의 뜻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때론 정치적인 유불리를 따지고, 코로나가 곧 끝날 것이다 라는 막연한 평안을 외치기도 하고, 교회가 향후 해야 할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작 모든 상황 가운데서 세미한 음성으로 나타나시는 하나님을 만나지 못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지금은 바벨론 포로 기간에 주를 독대하는 자리로 주의 교회를 이끌고 계심을 믿고 하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