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회개
- 중국
- ups
- 기도모임
- 이슬람
- UUPG
- 미전도 종족
- 선교
- 맨하탄 기도모임
- 중보기도
- 서울 기도모임
- 선교적 기도
- 북한
- 기독교 박해
- 동성애
- 뉴욕 기도 모임
- 인도
- 전략기도
- 기독교
- 맨하탄 기도 모임
- UrVine Mission
- 뉴욕 기도모임
- 무슬림
- 코로나 바이러스
- 복음
- 교회 핍박
- 교회
- Urban Prayer Station
- 기도
- 코로나 사태
- Today
- Total
목록남북통일 (4)
UPS Prayer Blog
코로나로 인해 해외 근무지에 갇히게 된 북한의 노동자들은 팬데믹 기간동안 북한 정부와 외국 현지 당국으로부터 제대로 된 지원도 받지 못한 채 코로나에 걸려 죽어가거나 고립된 삶을 살았습니다. 북한 정부의 코로나 봉쇄로 많은 북한 해외 노동자들의 귀국 길은 막혔지만, 해외에 체류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북한 내부에서 구할 수 없는 자료를 접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이 늘어나 하나님의 말씀도 접하게 되는 것입니다. 김씨 일가 밖에 알 수가 없던 북한 사람들은 이역만리 해외에서 성경을 통해 처음 만나게 된 하나님과 예수님을 믿으며 김정은도 우리를 지켜줄 수 없고 오직 하나님을 믿는다는 고백을 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허락하신 이 시간이 하나님에 대해 더 깊이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말하는 어느 노동자의 고백처..
최근 트럼프와 김정은의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한쪽에서는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져 북한은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 말하고 다른 쪽에서는 그래도 계속적인 대화와 접촉을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배해지고 있습니다. 핵이라는 이슈 때문에 전 세계는 한반도의 정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고 미국과 중국 등 주변 강대국들은 긴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국론이 분열되어 봉합되지 못할 정도로 양극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구나 최근에는 통일의 막대한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서 통일 회의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이념화로 정쟁화 되고 있는 연방제 통일론과 같은 주장으로 인해 또 다른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북한의 핵이나 통일은 한국을 정치적, 사회적으로..
미국은 대북 강경 노선을 채택한 트럼프 정권이 들어섰고 반면 한국은 친북 정책을 표방한 문재인 정권이 들어서면서 엇갈리는 대북정책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가 세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4월부터 제기 되었던 북핵 타격설이 다시 고개를 들고 한반도의 긴장감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북한의 미디어는 미국 정부와 한국의 정치인들을 대상으로 고기 분쇄기에 넣는다는 등 연일 강도높은 원색적인 비방을 일삼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전 세계는 한반도를 주목하고 있지만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인만이 평안을 누리고 있어 그 심각성이 큰 상황입니다. 이는 마치 바벨론 칼의 일촉즉발의 위기 속에서도 “평안하다 평안하다”를 외쳤던 유대인들처럼 이 사회의 안보 불안감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
한 대학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한국인의 통일의식은 다양하게 변화했습니다. 그 중 주목할 것은, 통일에 대한 필요와 열망이 희미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른 세대와 격차를 보이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통일의 이유에 대해서도 ‘같은 민족’이라는 이유보다는, ‘남북간 전쟁의 위협을 없애기 위해서’라는 관점이 증가했습니다. 대북정책과 탈북민 지원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증가했고, 탈북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커지면서 탈북자의 수용을 점차 꺼리고 있으며, 남북대치 상황을 바라보는 관점이 당파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면서 사회 분열의 주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반면,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와 같은 도발이 잦아 국민의 피로감이 누적되었고, 사드 배치가 국제적 이슈로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