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기독교 박해
- UUPG
- 중국
- 맨하탄 기도 모임
- 선교
- 전략기도
- 코로나 사태
- ups
- 무슬림
- 서울 기도모임
- 선교적 기도
- Urban Prayer Station
- 코로나 바이러스
- 미전도 종족
- 맨하탄 기도모임
- 기독교
- 기도모임
- 동성애
- UrVine Mission
- 중보기도
- 복음
- 북한
- 회개
- 기도
- 뉴욕 기도 모임
- 인도
- 뉴욕 기도모임
- 교회 핍박
- 이슬람
- 교회
- Today
- Total
목록선교 (256)
UPS Prayer Blog
이집트의 투레마(Tulema) 종족은 오로모(Oromo) 종족 그룹에 속한 약 12개의 부족 집단 중 하나의 종족으로서 대다수가 에티오피아에 살고 있고, 나머지는 이집트, 미국, 캐나다에 흩어져 있으며, 이집트에는 소수의 인구 약 3천 명이 살고 있습니다. 투레마 종족은 전사의 피를 갖고 있는 목동으로서 소년들은 승마, 창 던지기, 싸움 및 전쟁 기술을 익히며 용맹함을 배웁니다. 아버지의 권위를 중요시 여기며 아내는 보통 1명 입니다. 소유한 가축의 수와 자녀가 많을 수록 명성이 커집니다. 투레마 종족은 사교적이며 친척이나 친구에 대한 환대와 자선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전기가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살고 있고 의료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투레마 종족이 19세기 부터 이슬람을 믿게 된 이..
인도의 라카디브 마필라 (Laccadive Mappilla) 종족은 인구 약 8백 7십만 명으로 인도 남서부 해안가의 락샤뒵(Lakshadweep) 섬에 살고 있으며 말라얄람어 (Malayalam)를 사용합니다. ‘마필라’는 위대함을 뜻하는 ‘마하와(Maha)’와 사랑받는 어린이를 뜻하는 ‘필라(Pilla)’의 조합으로 ‘위대함의 사랑받는 어린이‘라는 뜻입니다. 라카디브 마필라 종족은 7세기 경 케랄라(Kerala)로부터 온 이주민으로 당시 힌두교를 믿었지만, 아랍계 이슬람 선교사의 영향으로 현재는 수니파 샤피트 학파 이슬람교를 믿습니다. 마필라 종족의 아이들은 예외 없이 아랍어로 된 코란을 최소 한번 완독해야 하고, 섬에는 여러 개의 모스크가 있으며 이슬람교 학교가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은 이..
수단의 자가와 종족은 인구 약 118,000명으로 자가와(Zaghawa) 언어를 사용하며 중앙 아프리카 전역에 흩어져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초원 평야와 깊은 골짜기가 있는 고원 지대에 살고 있으며 사막이 에워싸고 있습니다. 수단이 독립한 후, 이슬람이 들어와 자가와 종족의 전통적인 씨족제가 약화되었고, 오늘날 자신들의 경제적인 부와 민족적 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자가와 종족은 낙농, 농업, 채집에 기반을 두어 생활하고 있으며, 소와 양, 낙타 등의 동물을 길러서 시장에 내다 팔아 생계를 유지합니다. 수단에 이슬람교가 들어온 이후, 대부분의 자가와 종족은 이슬람으로 개종했으며, 그들의 촌락에는 이슬람 사원이 있어서 기도처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자신들의 전통 종교를 따르고 ..
타이 종족은 본래 중국의 양쯔강 북쪽에 살았었으나 중국인들의 끈질긴 압력으로 서서히 남쪽으로 밀려나며 이주하게 되었고 10세기에 이르러 현재 태국의 중앙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타이 종족은 방콕에 가장 많이 살고 있고, 일부는 취업을 위해 대만으로 이주하여 현재 대만에 거주하는 타이 종족은 약 6만4천 명 입니다. 대만의 타이 종족은 대부분 저임금 노동자로서 대만에 들어오기 위해 사용된 수수료를 지불하기 위해 1년 이상의 수입을 소비하곤 합니다. 그리고 또 다시 돈을 벌어 태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길고 힘든 시간을 일하며 생활합니다. 새해에 폭죽으로 축제하는 중국과 대만인과 달리 타이 종족은 물을 뿌리며 축복하는 송크란 축제가 유명합니다. 타이 종족은 유달리 예의 바르고 윗 사람을 존경하고 서로 ..
1) 하나님의 세미한 소리를 듣지 못하는 교회들을 위해 호렙산에서 엘리야에게 나타나신 하나님께서 바람 가운데에도, 지진 가운데에도, 불 가운데에도 계시지 않으시고 불 후에 세미한 소리로 나타나셨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함께 모여 예배드리기 어려워진 지금의 교회들은 눈에 보여지는 모든 현상을 각자 스스로 해석하며 하나님의 뜻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때론 정치적인 유불리를 따지고, 코로나가 곧 끝날 것이다 라는 막연한 평안을 외치기도 하고, 교회가 향후 해야 할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작 모든 상황 가운데서 세미한 음성으로 나타나시는 하나님을 만나지 못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지금은 바벨론 포로 기간에 주를 독대하는 자리로 주의 교회를 이끌고 계심을 믿고 하나님..
아이티는 2010년 대지진이 발생한 후, 국제 사회의 이목을 받으며 관심과 기도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뒤따른 콜레라 사태와 2016년 허리케인 메시의 강타가 이어졌고, 이재민 난민촌의 경우 나아지는 것 없이 어느덧 10년이 흘러 왔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은 부패한 정부에 분노한 국민들의 폭동이 이어지고 갱단들이 기승을 부려 대낮에도 강도, 납치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3월 초부터 코로나로 인한 경고가 시작되었지만 사실상 정확한 집계나 파악을 할 수 있는 의료 시스템이 없고 일자리를 찾기는 더욱 더 어려운 상태로 국민의 60%가 하루 $2.40으로 생활하는 빈민층만 더욱 늘어가고 있습니다. 물가는 50% 상승하여 쌀과 가솔린, 교통비, 생필품 등의 구입이 어려워 코로나 감염보다 먼저 굶어..
아한(Ahan) 종족은 인구 약 500 명으로 아한어를 사용하며 나이지리아의 주요 종족인 요루바(Yoruba) 종족의 하위 종족으로 나이지리아에서만 살고 있습니다. 농업은 이들의 주요 생계 유지 수단이며, 닭, 염소, 소를 키우고 콩, 고구마, 옥수수, 바나나, 멜론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합니다. 아한 종족은 자급자족을 우선시 하지만, 팜 오일, 코코아, 땅콩을 팔아 스스로 만들 수 없는 농사 기계와 장비나 휴대폰을 사기도 합니다. 법률적인 문제나 외부 접촉은 아한 종족 연장자들이 담당하여 대부분은 종족 내 생활이 전부이기 때문에 복음을 들을 기회가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아한 종족에게 복음이 들어간 적이 있어 단 한명의 크리스천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토속 신앙과 혼합되어 복음의 본질이 흐려진 상태..
중국의 하니(Hani) 종족은 소수 민족 중 하나로 인구 약 766,000 명으로 하니어를 쓰며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의 국경을 따라 중국 남쪽 위난성 지방에 거주합니다. 하니 종족은 숲으로 둘러싸인 산들과 비옥한 대지에 거주하며 수세기동안 고산 지역에 격리되어 살아왔기 때문에 사회, 경제적으로 뒤떨어져 있습니다. 하니 종족은 매년 대형 축제를 벌이는데, 새해 첫날 검은 쌀로 된 3개의 공들을 뒤로 던지며 지난 해에 작별을 고하고 다시 흰 쌀로 만들어진 3개의 공들을 앞으로 던지며 새로운 해를 환영합니다. 그네타기는 재앙을 털어내고 번영의 해를 가져온다고 믿으며 모든 사람들이 참여합니다. 하니 종족은 전통적으로 토속 신앙과 다신교, 조상 숭배의 복합적인 형태의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이들은 매우 미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