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교회 핍박
- 맨하탄 기도 모임
- UUPG
- 이슬람
- 미전도 종족
- 기도모임
- 북한
- 기독교 박해
- UrVine Mission
- 무슬림
- 서울 기도모임
- 코로나 바이러스
- 인도
- 전략기도
- 뉴욕 기도 모임
- 회개
- 교회
- Urban Prayer Station
- 선교적 기도
- 뉴욕 기도모임
- 맨하탄 기도모임
- ups
- 동성애
- 복음
- 코로나 사태
- 중보기도
- 기도
- 중국
- 선교
- 기독교
- Today
- Total
목록이슬람 (262)
UPS Prayer 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HK2e/btqFGMaiZy6/h3WXB6Yr9AekoxrrbCDbF1/img.jpg)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터키 역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확진자 수가 13만 명에 근접하고 사망자 수가 4천 명이 육박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터키 내 여론은 사회적 문제를 기독교인과 결부시켜 비난하며 교회에 대한 공격, 방화, 십자가 철거 등 강력한 박해를 가하고 있습니다. 세속적인 이슬람 국가로 알려진 터키는 코로나 사건 이후 그들의 분노를 터뜨릴 희생양을 찾고 있는데 이에 대해 기독교인이 표적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비박해지에서는 교회에 대한 제도적인 혹은 여론의 공격이 그리고 박해지에서는 직접적 공격이 가속화 됨으로 결국에는 교회를 무너뜨리려는 원수의 궤계를 영적으로 파수하며 기도해야 할 때입니다. (출처: 기독일보, revised by 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wqwq/btqFHp6GWyu/cxRLaXkjkDROF8DsnqDup1/img.jpg)
무쌀리(Mussali) 종족은 파키스탄, 인도, 아프가니스탄 세 나라에 살고 있으며, 그 중 파키스탄에 가장 많은 인구 약 263만 명이 살고 있고, 다른 나라는 그 수가 적습니다. 19세기 중순, 인도에서 온 백인 와하비 무슬림(Wahabi Muslim) 이민자들이 파키스탄 펀자브(Punjab) 지방에 살던 흑인 원주민 힌두교도들을 이슬람교로 강제 개종시키면서 ‘무쌀리(Mussali)’라고 불렀습니다. 무쌀리 종족은 태어나면서부터 화장실 청소나 천하고 역겨운 일을 도맡아 해야 하는 운명이고, 평생에 걸쳐 자신들을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다른 사람들의 경멸도 견뎌야 합니다. 무쌀리 종족은 지독한 가난에 시달리며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교육을 받을 기회를 얻고자 하지만, 이들을 열등하게 보고 태생이 천하다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Rp3C/btqFrDlb06X/lOEZ1NNEZA80tdWkyZ5gk1/img.jpg)
말레이시아에서는 기독교가 불법은 아니지만, 이슬람교도들을 개종시키려고 시도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고 이슬람법을 더 강력하게 지키자고 주장하는 정치인들이 많이 등장하면서 이슬람에서 기독교로 개종하는 것에 대해 더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에이즈 환자와 마약 중독자 등 사회 최빈층을 돕는 ‘희망 커뮤니티’를 운영해오던 레이먼드 고(Raymond Koh) 목사는 자선 단체를 위장한 기독교 전도를 의심받아 2011년부터 지속적인 협박과 위협에 시달려 왔습니다. 차로 이동 중이던 고 목사는2017년 2월 자동차 여러 대에 포위된 후 검은 복면을 쓴 남성들 15명에 둘러싸여 순식간에 납치된 후 지금까지 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또 다른 목사 죠슈아 힐미(Joshua Hilmy)와 아내 루스(Ruth)도 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df8R/btqE41zP7iZ/KhK4KOI2fqC8U2nQTUmDd1/img.jpg)
오픈 도어즈 기독교 박해 순위 5위의 인구 약 96%가 무슬림인 국가 파키스탄의 기독교인들은 매일 종교적 차별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난 4월에는 기독교인이라는 이유로 코로나 19 식료품 지원에서 배제되어 생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고, 6월 초에는 카이베르파크툰크와(Khyber Pakhtunkhwa) 주의 수도인 페샤와르(Peshawar)에서 무슬림 동네에 집을 샀다는 이유로 한 크리스천 가정이 모욕을 당하고 총상으로 병원에 입원했지만 경찰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신성모독 죄로 기독교인들이 기소되는 사건이 빈번히 발생합니다. 2013년 무함마드를 모욕하는 문자로 신성모독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은 크리스천 부부가 얼마 전 문맹으로 밝혀져 거짓으로 고소가 되었음에도 항소심이 지연되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0IRRd/btqEUGuoWIP/IZWE9jetXN7ZBRVeycR1k0/img.jpg)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모리타니아의 무어 종족은 인구 약 350만 명으로 하싸니야(Hassaniyya)어를 사용합니다. 무어 종족 중 2/3를 차지하는 화이트 무어 종족이 상위 계층 2개를 점령하고, 블랙 무어 종족이 하위 계층 2개를 이룹니다. 화이트 무어 종족들은 대부분 귀족 계급으로 무어 사회의 상층을 형성하는 반면, 블랙 무어 종족은 여전히 화이트 무어 종족들의 노예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어 종족은 반유목민으로서 소나 양을 치는 자급농을 하며 주요 작물은 쌀과 수수, 대추, 옥수수 등입니다. 무어 종족의 가옥은 평평한 지붕과 진흙, 벽돌로 만든 소규모 주택인데, 극빈층의 무어인들은 나무 막대기와 판자로 만든 움막에 살며, 부유층은 벽돌 가옥에서 삽니다. 무어 종족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의식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EEh3/btqEImSCGlL/Yk04KYkvK92xemN4tb5A50/img.jpg)
이란의 아이마크 종족은 ‘차르 아이마크(Char Aimaq)’라고도 불리며 약 23만 명으로 본거지는 이란의 북동부에서 서부 및 중부는 물론 아프가니스탄까지 뻗어 있으며 현재까지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아시아의 갈림길이었던 아프가니스탄에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아이마크 종족은 무역과 침략을 동시에 겪으며 혼합된 민족성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한때 유목민이었던 아이마크 종족은 극심한 가뭄과 전쟁의 반복으로 인해 계절에 따라 가축 떼를 방목하거나 진흙 벽돌 마을에서 카펫을 짜는 농부로 생활하며 농업과 가축 사육이 주요 경제적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극심한 겨울과 가뭄을 견디기 위해 처녀들이 비가 오기를 빌며 춤을 추는 기우제의 풍습도 남아 있습니다. 이란의 아이마크 종족의 첫 번째 언어는 아이마크(Aimaq..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Ucyp/btqEze1ivB4/O7bLAyZ4h296RSe4bhnMR0/img.jpg)
아프리카 중서부에 있는 부르키나파소에서 한 목회자 부부가 부르키나파소 국내에 코로나 바이러스를 들여왔다는 혐의로 기소되면서부터 기독교인들에 대한 핍박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부르키나파소는 이미 2015년부터 이슬람 무장 세력에 의해 기독교인들이 표적이 되어 200개 이상의 교회들이 문을 닫고 수천명의 교인들은 난민 수용소로 옮겨졌습니다. 부르키나파소의 인구는 2천여 명으로 개신교 기독교인은 3% 밖에 안되는데, 이 기독교인들이 이슬람 무장 단체의 공격에 짓밟힌 것도 모자라 이제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이용해 더 가혹한 시련을 당하도록 만드는 원수의 궤계를 대적하며 부르키나파소의 기독교인들, 교회를 위해 중보해야할 때입니다. (출처: 기독일보, 복음기도신문, 순교자의 소리, revised by UPS) 이 말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6nFn/btqEzA3PaFU/WvR7i6CaUXYnOFZb2vtmx0/img.jpg)
파키스탄의 아라인(Arain) 종족은 라인(Raeen) 종족이라고도 불리며, 서부 푼자비어를 사용합니다. 이들은 인도 대륙을 침략한 아랍인의 후손으로 시리아의 아리하(Areeha) 지역에서 왔다고 알려져 있고, 현재는 인구 약 1 천 1백만 명으로 파키스탄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농업 카스트에 속한 아라인 종족은 영국의 인도 식민 지배 기간 동안 성실함을 인정받아 많은 도시 개간을 맡게 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쌓은 재산을 교육에 투자해 왔고, 오랜 시간에 걸쳐 입법자와 계층에도 속하게 되었고, 강한 정치성이 특징입니다. 아라인 종족은 원래 힌두교를 믿었으나 현재는 100% 이슬람을 믿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슬람 관습을 따르는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서부 푼자비어로 번역된 신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