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기독교
- 교회 핍박
- 맨하탄 기도모임
- 북한
- 전략기도
- 교회
- 기독교 박해
- 동성애
- 선교
- 이슬람
- 미전도 종족
- 무슬림
- 복음
- 인도
- 뉴욕 기도 모임
- 코로나 사태
- ups
- Urban Prayer Station
- 코로나 바이러스
- 회개
- 맨하탄 기도 모임
- 중국
- 서울 기도모임
- UUPG
- 기도
- UrVine Mission
- 중보기도
- 선교적 기도
- 뉴욕 기도모임
- 기도모임
- Today
- Total
목록미전도미접촉종족 (4)
UPS Prayer Blog
카자흐스탄의 카작 종족은 시베리아와 흑해 사이에 걸쳐 살고 있는 터키, 몽골, 그리고 인도 이란인의 후예들입니다. 카작 종족의 인구는 약 천만이며 카작어를 사용합니다. 카작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대체로 터키어의 '방랑자, 해방자'라는 단어에서 나왔다고 여겨집니다. 우즈벡인들에 의해 몽골 유목민 부족들이 정복당하고 난 15세기 후반에 가서야 민족으로서 발전되었습니다. 카작종족이 카자흐스탄에서 사는 민족 중 제일 숫자가 많은 민족이 된 것은 1992년에 이르러서였는데, 전체 100개 이상의 종족으로 구성된 나라인 카자흐스탄에서 전체 인구의 42%정도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카작종족의 주요 직업은 농업과 목축입니다. 그런데 1991년 이래로 집단 농장들이 문을 닫거나 사유화되고 있어 농촌지역의 대다수 카작 젊은..
[상황설명] 기니의 쿠란코 종족은 남반구 기니와 시에라리온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말링케 종족의 뿌리에서 나왔으며 이들은 남동쪽 기니지역의 대초원과 열대 우림을 차지하며 살고 있습니다. 쿠란코 종족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들은 적절한 도로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접근이 용이치 않으며, 이런 이유로 그들은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또한 쿠란코 종족이 그들의 전통적인 문화와 종교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쿠란코 종족이 쓰는 언어는 ‘쿠란코어’로 니제르-콩고 언어에서 나온 방언입니다. 이것은 그들과 인접해 있는 이웃인 말링케족과 수수족만 이해할 수 있는 언어입니다.쿠란코 종족은 대부분이 먹고 살기가 부족한 농부들입니다. 쌀이 주요 경작물이며, 사바나에서 면, 땅콩, 옥수수, 커피등을 수..
알제리에 살고 있는 투아레그 종족의 인구는 약 4만명으로 베르베르 투아레그 그룹에 속합니다. 투아레그 종족은 이들만의 고유 언어인 타마헥어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베르베르 종족은 백인종의 모습이 강한 반면 투아레그 종족은 흑인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 투아레그 종족의 영역은 남부 알제리를 시작으로 북아프리카의 말리, 니제르까지 이릅니다. 사하라 남부로부터 북서부의 수단에서 무역을 해왔었으나 현재는 유목인으로서 목축업으로 주로 낙타와 소를 키웁니다. 투아레그족은 십자가 무늬를 애호하고, 일부일처제를 고수합니다. 보통 이슬람 여성이 히잡을 두르는데 투아레그 종족은 남성들이 아센조터라고 하는 베일을 얼굴에 두르고 다닙니다. 이것은 사회적 관습이면서도 모래 바람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려는 목적도 있습니..
453번째 - UUPG 브루나이의 브루나이 말레이 종족 (Brunei Malay of Brunei) 브루나이는1888년 부터 영국의 보호국이였고, 1963년에 보르네오 섬의 말레이종족 연합으로 말레이시아 국가가 세워질 때 유일하게 연합하지 않고 홀로 남아 1984년에 완전히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의 5천 평방 킬로미터 되는 작은 나라입니다. 석유와 천연 가스가 주요 자원이며, 브루나이는 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일인당 평균 수입은 2만5천불이고, 브루나이 시민에게는 교육 의료 주택 보조금이 제공되며, 소득세도 없습니다. 브루나이에는 가난의 흔적을 전혀 찾을 수가 없습니다. 1968에 세워진 하싸날 볼키야 국왕은(The Sultan of Brunei, Hassana..